여름에 음식물 쓰레기를 두면 아무리 없애려해도 초파리가 계속생겨서 바로바로 음식물쓰레기를 없애기 위해 린클(Reencle)을 장만했습니다. 프라임에 이어 때마침 23년 7월에 새로 출시된 그래비티로 구매했습니다. 크게 달라진 점은 무뚜껑이 고정된다는 점과 무게가 측정된다는 점이 있습니다. 사용 시 주의사항과 as받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냄새가 역하게 날 때, 고객센터에 연결하기 전 먼저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린클 음식물 처리기란?
유기물 분해에 적합한 미생물을 전통장류에서 부닐하여 제품 내부에 톱밥등과 함께 넣고, 음식물 쓰레기를 빠른 시간(24시간)내에 발효 분해시켜 퇴비 등의 자원으로 바꾸어 발생원(가정) 자체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제품입니다.
- 미생물 분해방식
- 저소음 음식물 처리기
- 4중 스마트 탈취 시스템
- 배관 설치 불필요
- 자동 열림 센서 장착
- 무게 감지 센서 장착
린클 설치방법
바닥이 평평하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제품을 놓고 안에 부속품을 다 꺼내줍니다. 그리고 어댑터 잭을 후면의 전원 연결부에 꽂아줍니다. 전원을 연결하고 전원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리고 푸드클리너를 뜯어 넣어줍니다. 물 1.8-2리터를 붓고 덮개를 덮어줍니다. 24시간 동안 미생물이 자라는 시간을 주고 그 이후에 음식물쓰레기를 넣어줍니다.
린클 그래비티 주의사항
- 과투입 : 1일 적정 1kg, 최대 1.5kg 투입이 가능합니다.
- 섬유질 : 바나나 껍질이나 수박껍질, 생야채 등 섬유질이 많은 채소류는 잘게 썰어 넣어 주세요.
- 제품 전원 플러그 : 작동 중에 전원 플러그를 뽑지 말아주세요. 스위치를 먼저 끈 후 플러그를 뽑아주세요.
투입가능 물질과 불가능한 물질
투입가능 | 분해느림(잘라서 소량 투입) | 투입 불가능 |
과일류, 야채류, 익힌 고기, 생선류, 면, 곡류, 씻은 상태의 김치, 된장찌개류, 젓갈류, 양념, 과자, 빵, 계란 | 가래떡, 수박껍질, 바나나껍질, 배추, 무, 오이, 콩나물, 고구마 | 뼈류, 생선가시와 내장, 해산물껍데기, 핵과류 씨앗, 계란 껍질, 딱딱한 껍질, 유지방류, 식용유, 날고기지방, 한약재, 티백류, 야채줄기, 껍질, 고추장, 된장 등의 장류, 나무젓가락, 종이, 테이프, 약, 담배, 비닐, 플라스틱, 고무, 금속, 유리, 수박 한통분량의 껍질, 생곡물, 가루류, 다시마, 미역, 곤약, 전분거름망 |
린클 A/S 고객센터
린클 그래비티는 제품 구입일로부터 12개월 보증기간입니다. 서비스 요청시 본사 고객센터 및 지정 A/S센터에서 실시합니다. 린클 공식 구매사이트에서 A/S안내를 해주기때문에 구매처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저는 한미프렉시블에서 구매해서 여기에서 구매했을 경우, 카카오톡 채널추가에 '한미프렉시블'입력하고 상담 후 서비스 받을 수 있습니다. 고객센터 번호는 1644-5075번입니다.
주요 문제 해결방법
- 역한 냄새 : 시큼한 악취의 경우 산성이 있는 음식물의 투입을 삼각해주세요. 하루정도 제습 버튼을 눌러 수분기를 제거해주세요.
- 미생물이 뭉쳐있을 때 : 아직 음식물을 다 분해하지 못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충분히 분해할 시간을 준 후 음식물을 다시 투입해주세요.
- 내부 벽면과 미생물에 곰팡이가 있을 때 : 린클 삽으로 흙을 가운데로 모아주고 몇시간 후에 다시 확인하면 곰팡이가 분해됩니다.
- 수증기와 물방울이 맺혀 있을 때 : 린클의 내부온도는 50-60도로 유지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로인해 음식물 분해 시 내 외부 온도차로 인해 수증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 미생물에서 기름기가 보일 때 : 기름기가 보이거나 기름이 고여 심한 경우 분해활동을 하지 못합니다. 이런경우 고객센터로 연락 주신 후 미생물 유상 구매로 교체하셔야합니다. 식용유, 버터, 익히지 않은 육류의 지방 등 투입을 자제해야합니다.
이상 린클(그래비티) 주의사항과 주요 문제인 냄새 날 때 해결방법, 그리고 A/S 신청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저도 처음에 콩나물을 모르고 자르지 않고 그냥 넣었더니 돌아가는 축에 계속 감겨서 부르르릉 소리가 났습니다. 비닐장갑 끼고 감겨있는 것을 제거해줬더니 소음이 덜하더라구요. 콩나물이나 줄기 긴 음식물을 넣을 때는 잘라서 넣어야할 것 같습니다. 장시간 집을 비울 시, 건조할 수 있으므로 물을 넣어주세요. 7일 이상 비울 때는 2-3일 전까지만 음식물을 넣어주고 완전히 분해가 된 것을 확인한 후에 전원을 끄고 코드를 뽑아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MAX선까지 차오른다면 미생물을 퍼내서 맞춰줘야합니다.
'딱따구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집 : 김성훈 도자기 리퍼 2인 홈세트, 쏘에르 7종 후라이팬 (0) | 2023.07.19 |
---|---|
오늘의 집에서 산 후라이팬, 냄비 정리대 구매 후기 (0) | 2023.07.18 |
싱크대 정리 꿀팁 : 바겐슈타이거 배수구망, 실버스타 스텐 설거지통 (0) | 2023.07.17 |
브리타정수기 필터 교체 방법 및 사용 후기 (0) | 2023.07.11 |
흙당근의 효능과 세척 및 보관법 (0) | 2023.07.11 |